주식독학/관련주 및 테마주 모음

2차 전지 관련주 정리 (ft. 전기차 배터리 대장주 및 소재 관련주)

반응형

2차 전지 관련주란?

EU(유럽연합)를 비롯한 전 세계에서 탄소중립을 위한 정책이 강화되고 휘발유와 경유를 동력으로 하는 내연기관차가 퇴출되기 시작하면서 조금씩 전기차 시대가 열리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전기차의 동력이자 심장인 2차 전지가 새롭게 성장할 산업으로 꼽히면서 주가 상승을 견인하고 있는데요. 

 

2차 전지 관련주로 묶이는 종목들이 단기간에 너무 많이 오른 게 아닌가 하는 우려도 있지만 전기차 시대가 열리면서 반도체를 이을 게임 체인저로 부각되어 향후 성장 가능성에 대한 높은 기대가 계속해서 주가 상승을 이끌고 있는 상황입니다. 

 

현재 전기차 배터리 시장이 다른 산업에서 유래를 찾을 수 없을만큼 급성장하고 있고, 향후 10년간 연평균 34% 이상 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인데요. 단기 주가 급상승으로 인한 조정이나 전체 시장 상황에 따른 하락 또는 횡보가 있을 수는 있지만 2차 전지 관련주의 주가가 막연한 기대를 반영한 테마성 재료로 인한 상승이 아니라 실제 실적으로 이어지면서 주가 레벨업을 하는 과정이기 때문에 주식 투자자라면 관심을 가져야 할 새로운 산업군입니다. 

 

2차 전지 관련주로 묶이는 종목은 현재 100종목이 넘습니다. 많은 기업들이 신사업으로 2차 전지 사업을 하겠다고 선언하고 준비하고 있으나 가시적인 연구결과나 성과는 내지 못하고 있고, 실제 성과를 내며 성장하고 있는 기업들이 2차 전지 대장주로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2차 전지 관련주 중에서도 실적 및 시장 점유율과 기술력 측면에서 대장주 역할을 하고 있는 주요 종목들에 대해 정리했습니다. 

<2차 전지 배터리 3사 - 전기차 배터리 대장주>

한 번 사용해서 방전이 되면 사용할 수 없는 일회용 전지를 1차 전지라고 하고, 충전을 통해 반복해서 사용할 수 있는 전지를 2차 전지라고 하는데요. 현재 2차 전지로 사용되고 있는 배터리가 리튬이온 배터리입니다. 

 

그동안 리튬이온배터리는 휴대폰, 태블릿 PC, 노트북 등 IT 기기에 탑재가 되었는데, 전기차의 주 동력으로 장착되기 시작하면서 새로운 시장이 열린 거죠. 

 

한국 배터리 3사 또는 K 배터리 3사라고 불리는 LG화학, 삼성SDI, SK이노베이션이 리튬이온 배터리를 제조하고 있습니다. LG, 삼성, SK라는 대기업에서 배터리를 제조하고 있는 것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전기차 배터리 공급을 위해서는 제품 개발과 설비를 위한 엄청난 자금과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진입장벽이 존재하는 산업입니다. 배터리 제품 개발에 2~3년, 양산 검증에 2년, 안전성 검증에 2년까지 최소 6~7년라는 다소 긴 소요되기 때문에 신규 업체가 진입하기 쉽지 않죠.

1. LG화학

LG화학은 중국의 CATL과 전기차 배터리 세계 1위를 다투고 있는 기업으로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네이버에 이어 국내 시가총액 순위 4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2021년 10월 15일 기준). 

 

 

LG화학은 크게 석유화학 사업, 전지(배터리)사업, 첨단소재사업 등을 영위하고 있는데요. 2017년 17.75%였던 전지 부문 매출이 2020년 41.11%로 성장함에 따라 국내 최고를 넘어 전 세계 배터리 시장 1위 업체로 성장했습니다. 2021년 반기 기준 배터리 부문 매출액은 약 9조 3,851억 원이며, 영업이익은 1조 655억 원이었습니다. 

 

LG화학 매출 추이

 

배터리 부문 성장에 힘입어 2차 전지 대장주로 등극하면서 2020년 3월 23만 원이던 LG화학 주가가 2021년 1월 1백만 원을 넘기도 했습니다. LG화학 배터리를 장착한 GM Bolt의 화재 사고로 인해 주가가 하락했으나 최근 화재 사고로 인한 리콜 보상금(충당금)이 결정되면서 불확실성이 해소되어 주가 상승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LG화학은 2020년 12월 1일 전지(배터리) 사업 부문을 물적분할하여 LG에너지솔루션을 설립했습니다. 현재 전기차 배터리 사업을 하는 LG에너지 솔루션은 LG화학이 100% 지분을 보유하고 있지만 내년 초 상장을 추진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LG화학의 주가 하락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LG에너지솔루션은 배터리를 제조해 완성차를 만드는 자동차 OEM 업체(GM, 벤츠, 현대차, 테슬라 등)에 판매하기 때문에 어떤 자동차 제조회사의 어떤 모델에 장착되느냐에 따라 매출과 시장 점유율이 움직입니다. 

 

전기차 보급 확대로 인한 배터리 주도권을 잡기 위해 테슬라, 현대차 등 전기차 완성업체들이 직접 전기차용 배터리를 생산하는 이른바 '배터리를 내재화'전략을 추구함에 따라 LG화학을 비롯한 국내 배터리 3사의 향후 성장에 대한 불안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데요.

 

이에 대해 K배터리 3사는 배터리 생산능력을 키우면서도 배터리 소재의 개발을 통해 소재 시장으로 진출을 모색하고 있습니다(2차 전지 소재에 대해서는 아래 2차 전지 소재 관련주에서 자세히 설명합니다).

 

특히 LG화학은 양극재와 전구체에 대한 자체 기술력(하이니켈, 단결정 양극재 기술)을 보유하고 있고, 양극재 공장 증설을 통해 양극재 생산능력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LG전자가 보유하고 있는 분리막 사업의 생산 설비 등을 인수하여 분리막 사업을 수년 내에 조 단위 규모로 육성할 예정입니다. 

 

2. 삼성SDI

삼성 SDI는 중국의 CATL, LG화학(LG에너지솔루션), 일본의 파나소닉, 중국의 BYD에 이어 SK이노베이션과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시장에서 5~6위를 다투고 있는 기업입니다. 

 

삼성 SDI는 크게 에너지솔루션 사업과 전자재료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데요 에너지솔루션사업부문에서 소형전지, 전기차용 전지, ESS등의 리튬이온 배터리를 생산·판매하고 있으며, 전자재료 사업에서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소재 등을 생산·판매하고 있습니다. 2021년 6월말 기준으로 에너지솔루션 부문 매출액이 81%로 5조 988억 원이었습니다. 

 

삼성SDI매출

삼성 SDI는 삼성전자 등에 납품하는 소형전지 매출도 꾸준하고 전기차 배터리로 사용되는 중대형 전지 부문 기술 개발에 지속적인 투자를 하면서 시장을 확대해나가고 있는데요. 최근 가격은 낮추고 주행거리를 늘린 하이니켈 리튬이온전지인 젠5를 본격적으로 양산하면서 전기차 배터리 부문에서도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삼성SDI는 LG화학이나 SK이노베이션과 달리 미국 등 해외투자에 신중한 모습을 보이며 미국 공장이나 해외 합작법인도 설립하지 않았는데요. 최근 삼성 SDI가 자동차 배터리 미국 시장 진출을 추진하겠다며 2023년까지 미국에 생산라인을 마련하고 2025년부터 양산을 시작하겠다는 계획을 밝혀 기대를 모으고 있습니다. 

 

삼성SDI가 현재 검토 중인 미국 전기차 배터리 신공장 건설과 미국 완성차를 신규 고객으로 확보해 전기차 배터리 신규 수주 물량을 확보할 수 있는지가 향후 주가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3. SK이노베이션

SK이노베이션은 석유사업, 화학사업, 윤활유 사업, 배터리 사업 등을 영위하고 있는데요. 현재는 SK주유소를 운영하는 석유사업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중대형 전지인 전기차 및 ESS용 배터리를 생산하는 배터리 사업 부문이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SK이노베이션 매출

2021년 반기 기준 SK이노베이션의 배터리 사업 부문 매출은 1조 1,561억 원이었습니다. 

 

삼성 SDI와 세계 전기차 배터리 시장 5~6위를 다투고 있는 SK이노베이션은 배터리 생산 능력을 공격적으로 증설하고 있는데요 올해 배터리 부문 매출액은 3조 원 중반, 2022년 매출은 6조 원 이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현재 5% 내외인 세계 전기차 배터리 시장 점유율을 2030년 20% 이상 올리겠다는 목표로 Ford와 배터리 합작사를 세우는 등 적극적으로 배터리 생산능력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다만, SK이노베이션이 배터리 사업부문을 물적 분할해 신규 법인(가칭-SK배터리)을 세울 것으로 공시했기 때문에 지분 희석에 대한 우려가 주가 하락의 압력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작년 LG화학이 전지 부문을 물적분할해 LG 에너지 솔루션을 세운다는 공시 이후 주가가 큰 폭으로 하락한 것과 같은 맥락입니다. 

 

<2차 전지 소재 관련주 - 소재가 중요한 배터리>

2차 전지, 즉 리튬이온 배터리 사업은 소재를 중심으로 기술력이 부각되는 산업인데요. 소재에 따라 배터리의 성능과 주행거리 등이 결정되기 때문에 소재의 기술력이 가장 중요합니다. 그래서 2차 전지 소재 관련 종목은 2차 전지 주도주나 대장주로 자리매김하고 있지만, 2차 전지 부품이나 장비 관련주는 소재만큼 부각되지 못하고, 주가 상승도 소재 관련주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습니다. 

 

배터리 소재 기술의 진보와 더불어 전기차 보급이 확대되면서 대량생산이 본격화될 때 장비나 부품주가 좀 더 부각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여기서는 2차 전지의 핵심 기술력이자 진입장벽으로 작용하는 2차 전지 소재 관련주에 대해 정리했습니다. 2차 전지 소재 관련주는 소재를 생산해 위에서 살펴본 국내 배터리 3사를 비롯한 글로벌 배터리 제조사에 소재를 납품하고 있습니다.

 

리튬이온 배터리는 리튬이온의 화학적 반응으로 전기를 생산하는 배터리인데요 리튬이온 배터리를 만드는 필수 소재인 양극재, 음극재, 분리막, 전해질을 리튬이온 배터리의 4대 소재라고 합니다. 양극재와 음극재가 배터리의 기본 성능(충전용량, 출력 등)을 결정하고 전해질과 분리막이 배터리의 안전성을 결정합니다. 

 

 

4. 에코프로비엠 - 양극재 대장주 

리튬이온 배터리 양극재는 배터리 용량과 평균 전압 등 2차 전지 배터리의 특성을 결정하는 소재로 배터리 원가의 50%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비중이 높습니다. 양극재는 니켈, 코발트, 망간 등의 금속을 혼합해 만든 양극제 전구체와 리튬을 섞은 양극 활물질로 구성되는데요. 

 

전기차 배터리가 요구하는 고에너지밀도(고용량), 급속 충전, 장수명, 가격 인하를 이루기 위해 양극재 기술은 니켈의 함량을 높이는 하이니켈(Hi-Ni)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에코프로비엠은 국내에서 유일하게 니켈 비중이 80%이사인 하이니켈계 NCA(니켈코발트알루미늄)양극활물질을 생산하고, 전기차용 NCM(니켈코발트망간) 양극재를 세계 최초로 양산하고 있는 업체로 글로벌 2위 양극재 제조사입니다. NCA는 제조공정상 난이도가 가장 높은 활물질로 신규 업체가 가장 진입하기 어려운 기술입니다. 

 

 

독보적인 양극재 제조기술을 갖고 있는 에코프로비엠은 삼성SDI와 SK이노베이션에 양극재를 납품하고 있어 안정적인 수요처를 확보하고 있고 전기차 시장 성장과 함께 급격한 매출 증가가 예상됨에 따라 최근 1년간 주가가 4배 이상 상승했습니다. 

 

에코프로비엠 주가

에코프로비엠은 관계사인 에코프로지이엠(비상장)이 양극활물질의 원료인 양극재 전구체를 생산하고 있고, 에코프로비엠의 지분 48.2%를 보유하고 있는 모회사 에코프로는 폐배터리 재활용사업을 하고 있습니다. 

 

상장회사인 에코프로도 에코프로비엠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으며 에코프지이엠과 에코프로비엠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어 2차 전지 관련주로 꼽히는 대표적인 종목입니다.

 

 

5. 엘앤에프 - 양극재 대장주

2차 전지 양극재 활물질을 생산하는 엘앤에프는 세계 최초로 니켈이 90% 이상 함유된 NCMA양극재를 양산해 LG화학(LG에너지 솔루션)을 통해 테슬라에 납품하고 있습니다. NCMA는 하이니켈 NCM에 알루미늄을 첨가한 양극재로 높은 에너지 밀도에 안전성도 우수한 양극재로 평가받는 소재입니다. NCM과 

 

엘엔에프는 NCM과 NCMA 양극활물질을 LG에너지솔루션과 SK이노베이션에 납품하고 있어 안정적인 수요처를 확보하고 있는데요 지난해 3,561억 수준이었던 매출액이 올해 1조를 넘어서면서 폭발적인 실적 성장을 시작했습니다. 2025년 매출액이 5조 원대로 전망되면서 최근 1년간 엘앤에프의 주가는 5배 넘게 상승했습니다. 

 

 

특히 최근 엘앤에프의 MSCI 편입 가능성, IMM크레딧이 조성하 배터리 펀드가 엘앤에프에 1,000억 원을 투자한다는 소식 등에 힘입어 주가가 크게 상승했습니다. 

 

엘앤에프의 지분 15%를 보유하고 있는 최대주주인 새로닉스도 엘앤에프의 지분가치가 부각되면서 동반 상승 중입니다. 

 

새로닉스 주가

기타 양극재 관련주 

2차 전지 양극활물질을 생산하는 코스모신소재와, 코스모신소재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코스모화학.

 

이엔드디: 배기가스 저감용 촉매 소재 및 환경소재 전문기업으로 환경 관련 촉매 소재 기술력을 바탕으로 2차 전지 양극활물질 전구체 사업 시작.

 

금양: 2020년 12월 차세대 하이니켈 2차 전지 NCMA(니켈, 코발트, 망간, 알루미늄)계 양극재의 필수 핵심 소재인 '수산화리튬'가공 설비 구축 및 고개사로부터 관련 제품 승인 획득

 

브이티지엠피: 리튬황 배터리(리튬이온 전지 대비 5배 원가절감)에 들어갈 탄소 나노 소재 적용한 황 소재 특허 보유, 관련 사업 진출 선언(현재는 화장품 기업)

 

KG케미칼: 2차 전지 양극활 물질 원료인 고순도 황산니켈을 생산하는 KG에너켐의 지분을 인수하며 2차 전지 핵심소재 사업에 진출

 

삼아알미늄: 2차 전지 제조용 알루미늄박을 국내 배터리 3사에 공급 중

동원시스템즈: 2차 전지 내에서 전자가 이동하는 통로 역할을 하는 핵심 부품인 2 차 전지용 알루미늄박을 생산

6. 대주전자재료 - 음극재 대장주

리튬이온배터리 음극에 사용되는 음극재(음극활물질)은 구조적 안정성을 보유하고 가격이 저렴한 흑연으로 만드는데요. 천연흑연보다 비싸지만 배터리 출력을 향상시키는 인조 흑연이의 비중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전기차 배터리의 용량을 증대시키기 위해 흑연에 실리콘(Si)을 첨가하는 음극재 기술이 각광을 받고 있는데요. 흑연에 실리콘을 첨가할 경우 용량은 3배 이상 확대되고 충전시간이 단축되지만 부피팽장에 의한 수명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기술력이 중요합니다. 

 

대주전자재료는 실리콘계 음극활물질을 개발해 세계 최초로 상용화한 업체입니다. 이로 인해 실리콘계 음극재 매출액이 2024년까지 연평균 70% 이상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LG화학과 SK이노베이션에 음극재를 납품하고 있는 대주전자재료는 음극재 대장주로 꼽히며 지난 1년간 주가가 4배 가까이 상승했습니다. 

 

 

7. 포스코케미칼 - 양극재와 음극재 모두 생산

포스코케미칼은 음극재와 양극재를 생산하는 업체로 POSCO그룹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이차전지 소재사업에 리튬/니켈/흑연, 등 원소재부터 재활용사업까지 공격적인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2차 전지 핵심소재인 양극재와 음극재 분야에 적극적인 투자를 통해 2차 전지 종합소재로 발돋움하고 있는 포스코케미칼은2020년 매출은 1.6조 원 정도이나 적극적인 투자와 함께 2030년 2차 전지 부문 매출액이 23조 원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8. 일진머티리얼즈 - 동박 

리튬이온 배터리의 양극과 음극은 양극활물질(양극재) 또는 음극활물질(양극재)에 전도성을 높이기 위한 물질인 도전재와 바인더(접착제)를 섞어 얇은 극판에 발라 만드는 건데요. 양극판은 알루미늄으로 만드는 알루미늄 박이, 음극판은 구리로 만드는 동박(일렉포일 또는 전지박)이 사용됩니다. 

 

알루미늄박은 보통 기존 알루미늄업체들이 사업다각화를 위해 알루미늄박을 생산하고 있는데 반해 동박은 기술 혁신 수준이 높아 2차 전지용 동박을 전문적으로 제작하는 기업들이 있습니다. 

 

동박의 소재인 구리는 알루미늄보다 비싸기 때문에 얇으면서도 면적이 넓고 길게 만드는 기술이 중요한데요. 국내에서는 일진머티리얼즈, SKC(SK넥실리스), 솔루스첨단소재가 동박 3형제라 불리며 전 세계에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일진머티리얼즈는 2차 전지용 동박 국내 1위이자 글로벌 1위 기업으로 LG화학, 삼성SDI와 중국 기업인 BYD 등에 동박을 납품하고 있습니다. 가장 먼저 해외에 생산기지를 두고 동박을 양산하고 있는 일진머티리얼즈는 말레이시아에 이어 유럽, 미국에도 진출하며 생산능력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9. SKC - 동박 

SKC는 동박 업체인 KCTF를 인수하여 SK넥실리스로 사명을 변경했는데요. 현재 SKC가 100%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SK넥실리스가 SK이노베이션과 LG화학에 동박을 납품하고 있습니다. SK넥실리스는 초극박, 광폭 등의 기술을 확보하고 있고 약 250여 개의 세계 특허를 보유하고 있는 등 세계 최고 수준의 동박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데다 공격적으로 생산능력을 확대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10. 솔루스첨단소재 - 동박 

2020년 12월 14일 두산솔루스에서 솔루스첨단소재로 사명을 변경했는데요 2018년 헝가리에 유럽 유일의 동박 생산 공장을 설립하였고, 2020년 1.2만 톤 규모의 공장을 완공하고 본격적인 양산을 시작했습니다. 

 

SK이노베이션과 LG화학 등에 동박을 납품하고 있는 솔루스첨단소재는 북미에 동박 공장 증설을 공식화하고 준비 중입니다. 

 

기타 음극재 관련주 

애경유화: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활물질 및 그 제조방법 관련 특허 보유

 

한솔케미칼: 2차전지용 테이프, 음극재 바인더 생산 중 2021년 8월 2차 전지 실리콘 음극재 사업에 850억 원을 투자하기로 결정하며 음극재 생산에 뛰어듬

 

SK머티리얼즈 : 실리콘 음극재 개발 중

 

고려아연: 2020년 3월 2 차 전지용 전해 동박 사업 진출을 위해 자회사 케이잼주식회사(KZAM Corporation)설립. 2022년 13000톤 생산 예정.

 

나노신소재: 양극과 음극 내 전자 흐름을 촉진시키는 2차 전지용 CNT(Carbon nanotube) 도전재를 생산하는 업체. 음극재용 CNT(탄소나노튜브) 도전재를 세계 최초로 상용화. CNT 도전재는 기존 도전재보다 배터리의 안전성, 효율성, 경제성 측면에서 우위

 

동진쎄미켐: 014년 이차전지 도전재 슬러리 개발을 시작하여, 독자적인 바인더 용해 기술과 최적화된 도전재 분산기술을 바탕으로 고출력/고용량 전지에 적합한 특성을 확보하였으며, 2017년 HEV용 도전재 슬러리를 양산화하여 2018년 LVS용, PHEV용, EV용 제품을 확대 공급

11. 천보 - 전해질

현재 리튬이온 배터리는 액체 상태의 전해질인 전해액을 사용하고 있는데요 전해액은 양극과 음극 사이에서 리튬 이온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물질로 양극과 음극의 표면을 안정화시키며 배터리의 수명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전해액은 염(15%), 용매(75%), 첨가제(10%)로 구성되는데 염은 리튬이온의 이동 통로이고, 용매는 염을 용해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유기 액체이며, 첨가제는 안정성, 수명, 성능 개선을 위해 소량으로 첨가되는 물질입니다. 

 

천보는 전해액 첨가제와 리튬용 전해질을 생산하는 업체인데요. 다양한 리튬이온 전지 전해액 첨가제를 생산하고 있으며 중대형 리튬전지용 전해질을 세계 최초로 상용화해 양산하고 있는 2차 전지 전해질 대장주입니다. 

 

12. 후성 - 전해질

불소를 기반으로 한 가전 및 냉매가스와 반도체용 특수가스, 2차 전지 재료 및 자동차용 냉매가스 생산업체인 후성은 2차 전지 전해질 핵심물질인 리튬염(LiPF6)을 국내에서 유일하게 생산하고 있는 업체입니다. 

 

중국에 전기차 배터리 전해액 첨가제 공장을 증설해 기존 400톤에서 3,800톤으로 생산능력을 확대함에 따라 중국 전기차 시장 성장의 최대 수혜주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기타 전해질 관련주 

동화기업: 2019년 2차 전지 소재인 전해액을 생산하는 파나스이텍(現 동화일렉트로라이트) 지분 89.63%를 인수. 동화일렉트로라이트는 전해액을 생산해 삼성SDI와 SK이노베이션에 공급.

 

켐트로스: 정밀화학업체로 2 차 전지용 전해액 첨가제 개발 중

 

덕산데코피아:  2차 전지에 들어가는 전해액 첨가제의 양산을 시작

 

솔브레인: 중대형 리튬이온 배터리용 전해액 생산기술 보유

 

롯데케미칼: 분리막 생산 및 전해액 용매 분야 사업 진출

 

한농화성: 국책과제 '리튬금속고분자전지용 전고상 고분자 전해질 소재 합성 기술 및 상용화 기술 개발'의 주관기업으로 한국화학연구원과 LG화학과 함께 전고체 배터리 전해질을 개발중. 한농화성은 전고체 배터리 고분자 전해질의 핵심소재인 가소제와 가교제를 개발하고, 한국화학연구원과 LG화학은 이를 이용한 배터리의 안정화, 성능 평가를 담당 중

반응형
그리드형